바벨론(신바빌로니아)의 포로로 잡혀갔다가 바사(페르시아)의 고레스(키루스 2세) 왕에 의해 귀환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학개 선지자와 스가랴 선지자의 사역에 힘입어 B.C.516년에 성전을 완성했습니다. 또한 B.C.458년에는 에스라 학사와 수천 명의 유대인들이 귀환하여 이들 공동체는 더욱 굳건해졌습니다.
바사(페르시아)의 아닥사스다(아르타 크세르크세스 1세) 왕은 에스라 학사의 예루살렘 귀환을 허락하였고, 모세 선지자의 율법에 정통한 에스라 학사는 율법과 규례를 이스라엘에게 가르치기로 결심하였습니다.(에스라 7장)
그리고 느헤미야 총독이 와서 성벽을 재건 하였습니다. 그가 B.C.433년 바사(페르시아) 왕에게 되돌아가자 유대인들은 다시 옛날의 죄악 속에 빠져들었습니다. 그 후에 다시 그가 예루살렘에 돌아왔을 때 그는 다시 부패한 성읍을 보게 됩니다.(느헤미야 13:7~31)
말라기 선지자는 이러한 때에 하나님의 심정을 전달하였습니다.
말라기 선지자를 통해 하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나는 너희를 사랑했다. 너희가 내 이름을 멸시하고 레위 지파와 맺은 언약을 깨뜨렸지만, 나는 언약의 사신을 보낼 것이다. 너희는 내게로 돌아와라. 내가 지정한 날에 나를 섬기는 사람과 섬기지 않는 사람을 분별할 것이니, 그 날이 이르기 전에 나에게로 마음을 돌려라."
[표] 말라기 권 구성
11% (말라기)
0% (전체)